🌍 글로벌 이커머스 창업 & 수출입 가이드

해외 구매대행 창업 가이드: 병행수입과의 차이부터 실전 등록까지

rhandy 2022. 9. 6. 20:12
728x90

1. 해외 구매 대행이란?

해외 구매대행이란, 판매자가 해외 제품을 온라인에 소개하고 소비자가 결제를 하면 제품을 구매하여 국내에 있는 소비자에게 배송을 해주고 구매대행 수수료를 받는 서비스이다.

주로 구매자가 해외 제품을 직구하기 어려운 경우 이용한다. 

관세청 제공

예를 들면,

고객의 신용 카드가 해외 결제가 안된다거나 PXG, 폴로나 아베크롬비처럼 한국에서 구매가 쉽지 않을 경우 제품이 한국에 아직 들어오지 않았거나 해외가 더 저렴한 경우 등...

직접 구매하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절차가 복잡하고 변수가 많다 보니 구매 대행과 같은 보다 안전한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2. 병행수입도 있는데 왜 해외 구매 대행인가?

쇼핑몰을 개설하여 해외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 정식 대리점 계약을 제외하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병행수입이고 하나는 구매대행이다.

병행수입은 제품을 매입하여 수입 후 판매하는 방식이고 구매대행은 주문이 들어왔을 때 건건이 주문하여 고객에게 배송하는 방식이다.

 

해외구매대행 필수 조건

  1. 물품이 해외로부터 구매자 명의로 통관되어 구매자에게 직배송 될 것
  2. 별도로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것
  3. 판매 사이트에 해외구매대행임을 명시할 것
  4. 주문 건별로 구매대행 수수료를 산출하고 근거와 증빙을 보관할 것

구매대행은 자가소비(본인이 직접 사용-법적으로 재판매는 위법) 제약이 있기 때문에 수입절차나 세금문제에 있어서 병행수입보다 관대하다 (미국에서 구매한 제품은 결제 금액이 150$ 미만이면 세금이 없다)

이때 수입 주체가 병행수입은 판매자가 되고 구매대행은 고객이 된다.

 

구매대행은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재고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창고비와 같은 부대 비용도 들지 않고 재고 부담이 없다.
  2. 해외 브랜드의 경우 국내 정식 수입되지 않은 제품이 훨씬 많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다.
  3. 세금에 있어서 과세 기준금액이 결제금액의 합이 아닌 수수료의 합이다.
  4. 직접 송장 처리 및 발송을 하지 않으니 컴퓨터만 있으면 된다.
  구매대행 병행수입 사입 위탁판매
재고 보유 유무 미보유 보유 보유 미보유
제품 소싱 해외 해외 국내 국내
출고지 해외 국내 국내 국내
과세 대상 대행수수료 판매금액 판매금액 판매금액
통관번호 고객의 개인통관번호 사업자의 통관번호 불필요 불필요
부가세 환급 불가 가능 가능 가능

 

 

해외 직구 이커머스 창업을 위한 상품 소싱 방법

"한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인기 해외 상품을 판매해볼까?" 해외 직구 이커머스를 창업하고 효율적인 상품 소싱 방법을 알아봅니다.안녕하세요! 해외 직구 시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rhandykim.tistory.com

3. 단점은?

  1. 유명 브랜드가 아니면 국내 유통 제품에 비해 구매로 연결되기가 쉽지 않다.
  2. 다음날이면 받을 수 있는 국내 제품보다 배송기간이 훨씬 길다 (미국의 경우 2주 ~ 길게는 한 달 소요)
  3. 정산이 늦어 현금 흐름이 안 좋다 (보통 배송 완료되면 2주 후 정산이므로 주문기준으로는 1~2달 소요)
  4. 제품에 문제가 있을 때 컴플레인이 어렵고 취소(또는 반품) 시 물건 반송 처리가 어렵다. 

한국 소비자원 제공

4. 일단 시작하자

처음엔 부가세율이 낮은 간이과세자로 등록하여 세금 혜택을 받는다. 간이과세자는 매출이 올라가면 자동으로 일반과세자로 전환된다.

사무실 주소는 집주소로 해도 무방하다.

통장과 신용카드는 구매대행업 전용으로 별도로 준비하도록 하자. 일반 도소매 사업과 과세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매입 자료가 섞이면 세무 처리가 어렵다.

쇼핑몰 판매자 등록은 해외 판매자로 등록해야 배송기간 및 안내문이 해외배송으로 제대로 나온다.

한국 소비자원 제공

 

 

창업 전 점검해야 할 법적, 세무적 사항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법적, 세무적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가요? 놓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필수 사항들을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안녕하세요, 창업을 준비하는 여러분! 사업 아이디어

rhandykim.tistory.com

4-1. 해외 구매대행 창업 절차

  1. 사업자 등록(간이과세자-업종코드:525105) 및 통신 판매업 등록, 개인사업자 전용 통장 개설
  2. 건강식품을 판매한다면 건강식품교육센터에서 교육 이수 후 건강식품 영업 신고 필수
  3. 화장품을 판매한다면 화장품 판매업 등록
  4. 쇼핑몰 선택 (스마트 스토어,쿠팡, 11번가, 지마켓, 옥션, 인터파크, 위메프 등) 해외 판매자로 등록
  5. 제품 등록 및 판매 시작
  6. 해외 제품을 받아서 한국으로 발송할 배송대행지 계약
  7. 간이과세자의 경우 매년 1월에 부가가치세 신고

4-2. 쇼핑몰 운영 절차

  1. 쇼핑몰에서 고객 주문 접수
  2. 판매자가 해외사이트에서 배송 대행지로 주문
  3. 배송 대행지에 한국으로 발송되는 고객 이름, 개인통관 고유부호, 전화번호, 주소, 제품 등 배송 정보 등록
  4. 쇼핑몰에 송장번호 등록
  5. 고객이 제품 수령 및 확정

5. 구매대행의 미래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해외 직접 구매액은 전년 대비 26.4% 증가하며 5조 원을 넘어섰다. 해외 직구에 대한 소비자 요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미국은 의류 및 패션, 그리고 건강식품.

중국은 전자 통신기기, 생활용품.

유럽은 음식, 식료품인 것 같은데....

 

 

해외 직구 이커머스 창업을 위한 상품 소싱 방법

"한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인기 해외 상품을 판매해볼까?" 해외 직구 이커머스를 창업하고 효율적인 상품 소싱 방법을 알아봅니다.안녕하세요! 해외 직구 시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rhandykim.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