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해외로 제품 판매하기: 온라인 판매 도전기
해외에 내 제품을 팔아보고 싶다는 생각은 오래전부터 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했다. 글로벌 시장이 커지는 만큼 온라인을 통해 해외 판매를 시작하는 게 가능하다고 하는데, 직접 부딪혀 보기로 했다. 이 글은 내가 직접 해외 온라인 판매를 준비하면서 겪은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1. 해외 판매 채널을 정해야 한다
①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활용해 보기
처음부터 해외 쇼핑몰을 만들기는 부담스러웠다. 그래서 먼저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활용하기로 했다.
- 아마존 (Amazon): 미국, 유럽 시장 공략 가능
- eBay: 소규모 판매도 가능, 경매 시스템이 흥미로움
- Shopee / Lazada: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옵션
- Etsy: 핸드메이드 제품이나 디자인 굿즈에 적합
② 독립 쇼핑몰을 운영할 수도 있다
마켓플레이스는 편리하지만, 브랜드를 키우려면 내 쇼핑몰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Shopify, WooCommerce 같은 플랫폼을 이용하면 독립 쇼핑몰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처음에는 마켓플레이스부터 시작해보기로 했다.
2. 어떤 제품을 팔아야 할까?
해외에서 인기 있는 제품을 찾아봤다.
✅ K-뷰티 (화장품, 스킨케어)
✅ K-푸드 (라면, 김, 떡볶이, 간식류)
✅ 패션 & K-POP 굿즈 (한복, 스트릿 패션, 액세서리, MD 굿즈)
✅ 리빙 & 생활용품 (주방용품, 다이어리, 문구, 인테리어 소품)
📌 제품 선택할 때 고민한 것들
- 해외에서 정말 수요가 있는지(아마존, eBay에서 검색해보기)
- 배송비가 부담되지 않는지(부피가 크면 배송비 폭탄 맞음)
- 수출 규제가 있는지(화장품, 식품은 인증 필요할 수도 있음)
3. 판매 계정을 만들고 입점 준비
① 아마존 글로벌 셀링 (Amazon FBA / FBM) 시도하기
- FBA (Fulfillment by Amazon): 아마존 창고에 제품을 보내면 아마존이 알아서 배송
- FBM (Fulfillment by Merchant): 직접 포장하고 배송하기
- 판매자 계정 개설 후 제품 등록, 광고 세팅 필요
②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글로벌도 가능
- 네이버를 통해 중국, 일본, 동남아 고객에게 판매 가능
- 스마트스토어 운영하던 경험이 있다면 비교적 쉽게 접근 가능
③ Shopee / Lazada도 도전 가능
- 동남아 고객들은 K-뷰티, 패션, 생활용품을 많이 찾음
-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초기 비용이 적음
4. 해외 배송과 물류, 어떻게 해야 할까?
① 직접 발송 (초보자가 시도해볼 만한 방법)
- 우체국 EMS, DHL, FedEx, UPS 이용
- 주문이 많아지면 감당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
② 물류 대행 서비스 이용 (FBA, 3PL 활용하기)
- 아마존 FBA: 미리 제품을 아마존 창고로 보내놓으면 아마존이 알아서 배송
- 3PL (Third-Party Logistics): 해외 물류 업체를 통해 배송 대행
📌 배송비 줄이기 위한 방법
- 작고 가벼운 제품 위주로 판매
- 현지 물류 창고 이용 고려
- 여러 배송 옵션을 비교해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 선택
해외 구매 대행으로 제품을 판매해보자
1. 해외 구매 대행이란? 해외 구매대행이란, 판매자가 해외 제품을 온라인에 소개하고 소비자가 결제를 하면 제품을 구매하여 국내에 있는 소비자에게 배송을 해주고 구매대행 수수료를 받는 서
rhandykim.tistory.com
5. 해외 고객을 어떻게 끌어올까?
① SNS & 인플루언서 활용하기
-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에서 K-트렌드 제품 홍보
-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협찬 보내서 리뷰 받기
② 검색엔진 최적화 (SEO) & 광고 돌리기
- 아마존 광고(Amazon PPC)로 검색 상위 노출 시도
- 구글 SEO 활용해서 블로그, 웹사이트로 유입 유도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광고도 고려
③ 리뷰 관리 & 브랜드 신뢰도 만들기
- 해외 고객들은 리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후기 관리 필수
- 제품 패키지에 감사 메시지나 할인 쿠폰을 넣어 긍정적인 피드백 유도
6. 사업자 등록 및 필수 체크 사항
① 사업자 등록 & 세금 문제
- 해외 판매를 위해 사업자 등록 필수
- 수출 제품은 부가세 면제
② 해외 결제 시스템 구축하기
- PayPal, Stripe 같은 결제 시스템이 필요
- 글로벌 결제 지원 가능하도록 설정 필요
③ 통관 & 인증 문제
- 각 나라별 제품 수출 규정 확인 필요
- 화장품, 식품, 건강보조제는 수출 제한이 있을 수도 있음
창업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실전 팁
이커머스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쇼핑몰을 운영하는 것만으로 성공하기 어려운 시대죠. 그렇다면, 경쟁에서 살아남고 성장하는 비결은 무엇일까요?안녕하세요, 온라인 비즈
rhandykim.tistory.com
7. 해외 판매,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로드맵 정리)
✅ 1단계: 판매할 제품 찾기 (시장 조사, 경쟁력 확인)
✅ 2단계: 판매 플랫폼 결정 (아마존, Shopee, 네이버 글로벌 등 비교)
✅ 3단계: 판매 계정 만들고 제품 등록 (상품 페이지 세팅, 가격 책정)
✅ 4단계: 배송 방법 선택 (직접 발송 vs 3PL vs FBA 고민)
✅ 5단계: 마케팅 & 홍보 진행 (SNS, 광고, 인플루언서 활용)
✅ 6단계: 고객 관리 & 브랜드 성장 전략 구축
✅ 결론: 일단 시작해보자!
처음엔 막막했지만, 하나씩 준비하다 보니 해외 판매도 충분히 도전할 수 있는 영역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일단 부담 없는 방식으로 시작하고, 경험을 쌓으면서 확장해 나가야겠다. 혹시 나처럼 해외 판매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꼭 한번 도전해보는게 어떨까? 해보는 건 나쁘지 않으니....
'🌍 글로벌 이커머스 창업 & 수출입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의 AI 쇼핑 에이전트 루퍼스(Rufus): 새로운 쇼핑 경험의 혁신 (8) | 2025.03.20 |
---|---|
미국의 '기타 지정 국가' 분류가 크로스보더 셀러에게 미치는 영향 (6) | 2025.03.19 |
최근 3년간 유입되는 해외 제품의 트렌드와 주요 품목 분석 (8) | 2025.03.13 |
해외직구할 때 꼭 필요한 개인통관 고유부호 발급/조회하기 (2) | 2022.09.08 |
해외 구매대행 창업 가이드: 병행수입과의 차이부터 실전 등록까지 (4) | 2022.09.06 |